반응형 미세플라스틱3 물티슈가 플라스틱이라는 것을 아시나요? 청소를 하기 위해서나 오염물을 쉽게 닦아 내기 위해 무심코 뽑아 쓰고 버리는 물티슈가 플라스틱이라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흔히 물티슈를 화장실에서 쓰는 화장지와 같은 재질일 것으로 생각하여 화장실에서 볼일을 본 후 같이 변기에 흘려보내는 일이 많습니다. 실제로 공중화장실의 변기가 막히는 가장 큰 이유가 물티슈를 변기에 넣고 내려서라고 합니다. 물티슈가 변기에서 막히는 이유는 물에 녹지 않아서입니다. 화장실용 화장지는 물에 닿으면 금방 흐물거리면서 녹아버립니다. 최근 공중화장실에서 쓰레기통이 없어질 수 있는 이유가 바로 화장지가 물에 녹아서 변기가 막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처음 물티슈가 나왔을 때는 플라스틱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들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사용량이 폭발적으로 늘었습니다. 요즘에는 플라스틱이라.. 2023. 5. 24. 생활 속에서 미세플라스틱이 만들어지는 이유 미세플라스틱이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세상입니다. 눈에 보이지도 않고, 썩지도 않는 미세플라스틱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있을까요? 만들어지는 원인과 과정을 알아야 미세플라스틱이 늘어나는 것을 조금이라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일상생활 속에서 우리의 사소한 행동으로 만들어지고 있는 미세플라스틱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목차 미세플라스틱이란? 입자 크기별 분류 일상생활 속 미세플라스틱이 만들어지는 이유 인체에 주는 위험 미세플라스틱이란? 크기가 작은 플라스틱 조각을 미세플라스틱으로 통합하여 부르지만 입자 크기별로 부르는 명칭이 구분되어 있습니다. 과연 미세플라스틱이란 어느 정도 크기일 경우 부르는 명칭일까요? 입자 크기별 분류 나노플라스틱(초미세플라스틱) - 1nm(나노미터) 이상 ~ 100nm 미만 마이크로플라스틱.. 2023. 4. 28. 우리를 지켜주던 일회용 마스크의 위협, 썩지 않는 마스크 쓰레기 문제 되다 코로나로 인한 일회용 마스크 쓰기 의무가 해제되었지만 새로 유행하는 바이러스와 황사 및 미세먼지 때문에 우리는 아직도 마스크로부터 자유롭지 못합니다. 마스크는 대부분 일회용으로 하루에 하나씩 사용하는 것이 바른 사용 방법입니다. 하루에 하나씩, 모든 사람들이 사용했던 그 마스크들을 쓰레기통에 잘 버리는 분들도 많았지만 길거리를 돌아다니다 보면 버려진 마스크를 보는 것 또한 어렵지 않았습니다. 아무렇게나 버려진 마스크도 문제이지만 일반쓰레기로 잘 버려진 마스크 또한 방역용품들이 쓰레기로 돌아오는 '코로나 트래시'로 환경에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마스크의 재료와 썩는 데 걸리는 시간 일회용 마스크는 대부분 플라스틱류인 폴리프로필렌(PP)으로 만들어졌습니다. 플라스틱은 땅에 묻어도 수백 년간 썩지 않는다는 것.. 2023. 4. 1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