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제로웨이스트 운동

허위광고에 속지 말자. '그린워싱' 제대로 알기

by 지구의일부 2023. 4. 25.
반응형

지구온난화와 각종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소비자들이 생분해 플라스틱, 종이 빨대 등 친환경제품을 찾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기 위해 기업들도 친환경 제품 홍보를 하며 매출을 올리고 있는데요. 제품에 친환경 제품이라고 써져 있어서 구매한 제품들이 실제로는 전혀 친환경 제품이 아니거나 일부분만 친환경 제품이라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이런 경우를 그린워싱이라고 합니다.

 

목차

그린워싱(Greenwashing)이란?

그린워싱 피하는 방법

1. 허위광고 구분하기

2. 인증 마크 확인하기

3. 소비자체를 줄이기

 

그린워싱(Greenwashing)이란?

'하얗게 칠하다, 은폐하다, 눈가림하다'라는 뜻인 'Whitewash'와 친환경을 뜻하는 'Green'의 합성어로 허위광고를 통해 친환경제품인척 제품을 판매하는 '위장 환경주의' 또는 '친환경 위장술'로 무늬만 친환경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이나 단체를 의미하는 말입니다. 그린이라는 말이 들어가 친환경제품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결코 좋은 의미가 아닙니다. 단순히 제품을 판매하기 위한 목적도 있지만 친환경제품을 생산하고, 환경을 생각하는 기업이라는 좋은 이미지를 주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이기도 합니다. 한마디로 친환경인 '척'하는 기업들이므로 소비자들이 제대로 알고, 피해야 하는 기업과 제품들입니다.

그린워싱 피하는 방법

1. 허위광고 구분하기

2016년부터 2021년까지 5년간 환경과 관련된 부당 표시 및 광고로 적발된 건수가 33,532건이라고 합니다. 기업이 허위 광고를 하는 겨우도 있지만 중간 판매자 또는 개인 판매자 등이 홍보를 하면서 친환경, 무독성 등의 문구를 남용하고 있으나 이를 단속하는 인력도 매우 적으며, 단속이 되어도 별다른 규제가 없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광고를 무조건 믿지 말고, 허위광고인지 아닌지 구분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잘못은 기업이나 판매자들이 하는데 소비자가 더 공부를 하고 조심해야 하는 이상한 상황인 것이죠.

EU에서는 최근 친환경 표시 지침을 시행할 것이라고 발표를 했는데요. 아직 시행하고 있는 단계는 아니며, 실행이 된다 해도 잘 지켜질지 의문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환경부에서 올해 하반기에 그린워싱 세부 가이드라인 마련과 구체적인 제도를 마련하겠다고 했는데요. 얼마나 잘 실천이 될지는 모르겠습니다.

환경보호 단체인 그린피스에서 최근 그린워싱 감시단을 모집하여 SNS에 그린워싱으로 의심되는 제품의 사진을 올리는 방식으로 진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모집 신청 기간은 끝났지만 관심 있으신 분들이라면 SNS에 올라오는 게시글을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2. 친환경인증 마크 확인하기

환경부나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인증한 친환경 마크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신뢰가 가는 방법일 것 같습니다. 친환경 마크 종류로는 환경표지 제도, 에너지 절약 마크, 환경성적 표지, 탄소발자국 인증 마크 환경기술 성능확인, GR 마크 등이 있습니다.

3. 소비자체를 줄이기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소비를 줄이는 것입니다. 물건을 구매하기 전 나에게 꼭 필요한 물건인지를 확인하고 구매하는 습관을 가져야 합니다. 1+1 행사에 필요도 없는 물건을 구매하거나 단순히 디자인이 맘에 들어 구매하는 경우 등 충동적인 소비를 줄이고, 계획적인 소비를 하신다면 어렵지 않은 일입니다. 

반응형

댓글